공업입지론의 내용으로 운송지향론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07:15
본문
Download : 공업입지론의 내용으로 운송지향론 검토.hwp
넷째, 교통로는 사통팔달로서 접근이 용이하며 교통수단도 일정할 뿐 아니라 운송비는 거리와 중량만으로 산출된다된다. 결국 그의 理論은 비용을 최대로 절약할 수 있는 장소를 찾는 理論이라 볼 수 있다 베버를 비롯한 일련의 학파의 주장을 「최소비용입지론」이라 일컫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운송지향의 공리를 정립하기 위해서 공장에서 소비하는 원료의 성격을 구별한다. 또한, 원료의 중량이 가공과정에서 손실되는지 여부에 따라 「순수원료」와 「중량감손원료」가 있는데, 이를테면 가공과정에서 원료의 중량이 그대로 전부 제품의 무게에 부가될 경우, 이것은 「순수원료」이며 철광석처럼 원료의 중량이 상당부분 소실되고 그 일부만 이 제품의 무게로 부가될 경우, 이것은 「중량감손원료…(생략(省略))
레포트/경영경제


공업입지론,내용,운송지향론,검토,경영경제,레포트
순서
Download : 공업입지론의 내용으로 운송지향론 검토.hwp( 41 )
공업입지론의 내용으로 운송지향론 검토 , 공업입지론의 내용으로 운송지향론 검토경영경제레포트 , 공업입지론 내용 운송지향론 검토
공업입지론의 내용으로 운송지향론 검토
다. 셋째, 노동의 공급도 일정한 지점에서 이루어지며 공급력도 무한하다.
공업입지론의 내용으로 운송지향론 검토
설명
공업입지론의 내용으로 운송지향론 검토
1. 들어가며
공장이 입지 할 수 있는 장소는 원료공급지 아니면 소비지(시장), 그리고 양자 중에 아무 곳에도 구속력이 없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베버 이후 적환지(積換地), 즉 항구를 대안적 입지로 설정한 연구가 있는데, 이를 「중간적 입지」라고 일컫는다. 공장이 어디를 지향하는지를 몇 가지 공리로 정립하자면 현실의 복잡한 사상을 생략(省略)하고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가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밖에 베버는, 공장을 운영하는 사람은 최소비용으로 최대수익을 노리는 합리적인 경제인이고, 다른 공장과의 관계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원료나 제품의 가격을 이미 주어진 것으로 가정했다. 우선, 원료의 생산지에 따라 아무 곳에서나 취득이 가능한 「보편원료」와 일정장소에 편재하는「국지원료」로 나눌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물이나 공기는 보편원료에 속하고 석탄이나 석유는 국지원료에 속할 것이다.
2. 공장 입지의 운송지향론 관점의 전제
첫째, 원료공급지의 지리적 분포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 어떤 지점이며 그 공급력도 무한하다. 둘째, 소비지의 위치도 일정한 지점으로 가상되며 수요도 무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