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간척 사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4 13:01
본문
Download : 새만금 간척 사업_2070860.hwp
우리나라의 1인당 수자원(강수량)은 세계mean(평균)의 1/11에 불과하여 21 세기(世紀) 에 대비한 수자원 확보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레포트/생활전문
,생활전문,레포트
다.
( 수자원확보 )
방조제가 설치되면 바닷물 …(생략(省略))
새만금사업에 대하여 알아보고, 나아가 갯벌의 중요성과 새만금사업에 대한 찬반입장을 쓴 리포트입니다.
설명
새만금사업에 대하여 알아보고, 나아가 갯벌의 중요성과 새만금사업에 대한 찬반입장을 쓴 리포트입니다.새만금간척사업 , 새만금 간척 사업생활전문레포트 ,
Download : 새만금 간척 사업_2070860.hwp( 54 )
새만금간척사업
새만금 간척 사업
순서
* 개발의 목적
* 사업내용
* 새만금사업의 기대결과
* 갯벌의 중요성
* 결과
*개발의 목적
1.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사라지는 농지 대체
- 지난 10년 동안 22만ha의 농지가 도로,주택,산업용지 등으로 전환됨 (매년 경작지 1~2ha씩 감소)
- 우리 국민 4,700만 명의 식량생산을 위해서는 최소한 100만ha의 쌀 재배 면적이 유지되어야함(현재108만ha)
2.부족한 수자원 확보
- 우리는 UN에서 분류한 아시아 유일의 물 부족국가로 2xxx년에는 약 18억 톤의 물 부족 예상
- 만경강, 동진강의 물을 담수하여 연간 5억3천5백만 톤의 수자원을 활용
- 새만금호 11,800ha 조성은 중규모 저수지 200개 축조 결과
3.식량의 무기화의 대비
- 대규모 우량농지 조성으로 불확실한 未來, 통일시대 준비
- 기상이변, 국제 쌀 시장의 취약성을 고려할 때 안정적인 식량자급기반 마련 시급
*사업내용
1.사업구역 : 전라북도 군산, 김제, 부안의 18개 읍. 면. 동
- 군산 : 비응도,내초,옥구,옥서,회현,대야,옥도(7개)
- 김제 : 광활,죽산,만경,청하,성덕,부량,진봉(7개)
- 부안 : 계화,동진,하서,변산(4개)
2.사업규모 : 총 면 적 : 40,100ha/토지조성 : 28,300ha/담수호 : 11,800ha
* 새만금사업의 기대결과
새로운 토지 28,300ha와 수자원 확보, 육운improvement(개선), 관광, 해안저지대 배후농지의 상습적인 침수피해 해소 등의 다양한 결과
방조제 안쪽에 여의도의 94배에 달하는 새로운 땅 28,300ha(8천5백만평)가 만들어져 지역발전과 국가경제에 도움이 되게 활용될 것입니다
( 집단화ㆍ규모화된 우량농지 조성 )
400ha 급수규모의 중규모 저수지 200개분에 상당하는 5억3500㎥ 저수 규모의 수자원을 확보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