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산업기사] 제13장화학평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5:13
본문
Download : [위험물산업기사] 제13장화학평형.hwp
13.2 평형 상수 Kc
① aA + bB ⇄ cC + dD와 같은 가역반응에서 정반응의 평형식은 다음과 같다.설명
![[위험물산업기사]%20제13장화학평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84%ED%97%98%EB%AC%BC%EC%82%B0%EC%97%85%EA%B8%B0%EC%82%AC%5D%20%EC%A0%9C13%EC%9E%A5%ED%99%94%ED%95%99%ED%8F%89%ED%98%95_hwp_01.gif)
![[위험물산업기사]%20제13장화학평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84%ED%97%98%EB%AC%BC%EC%82%B0%EC%97%85%EA%B8%B0%EC%82%AC%5D%20%EC%A0%9C13%EC%9E%A5%ED%99%94%ED%95%99%ED%8F%89%ED%98%95_hwp_02.gif)
![[위험물산업기사]%20제13장화학평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84%ED%97%98%EB%AC%BC%EC%82%B0%EC%97%85%EA%B8%B0%EC%82%AC%5D%20%EC%A0%9C13%EC%9E%A5%ED%99%94%ED%95%99%ED%8F%89%ED%98%95_hwp_03.gif)
![[위험물산업기사]%20제13장화학평형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84%ED%97%98%EB%AC%BC%EC%82%B0%EC%97%85%EA%B8%B0%EC%82%AC%5D%20%EC%A0%9C13%EC%9E%A5%ED%99%94%ED%95%99%ED%8F%89%ED%98%95_hwp_04.gif)
![[위험물산업기사]%20제13장화학평형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84%ED%97%98%EB%AC%BC%EC%82%B0%EC%97%85%EA%B8%B0%EC%82%AC%5D%20%EC%A0%9C13%EC%9E%A5%ED%99%94%ED%95%99%ED%8F%89%ED%98%95_hwp_05.gif)
![[위험물산업기사]%20제13장화학평형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84%ED%97%98%EB%AC%BC%EC%82%B0%EC%97%85%EA%B8%B0%EC%82%AC%5D%20%EC%A0%9C13%EC%9E%A5%ED%99%94%ED%95%99%ED%8F%89%ED%98%95_hwp_06.gif)
[위험물산업기사] 제13장화학평형
[위험물산업기사] 제13장화학평형 , [위험물산업기사] 제13장화학평형시험자료전문자료 , 위험물산업기사 제장화학평형
Download : [위험물산업기사] 제13장화학평형.hwp( 13 )
위험물산업기사,제장화학평형,시험자료,전문자료
전문자료/시험자료
제 13장 화학 평형
13.1 평형 상태
N2O4에서 NO2로의 분해반응은 NO2분자가 N2O4분자로 다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가역반응이라고 하고 평형상태에 있다고 한다.
N2O4(g) ⇄ NO(g)
화학평형은 가역반응에서만 일어날 수 있으며, 닫힌계에서만 생긴다. 관례적으로 평형상수는 단위를 省略하여 쓴다.
13.2 평형 상수 Kc
① aA + bB ⇄ cC + dD와 같은 가역반응에서 정반응의 평형식은 다음과 같다. 위의 반응에서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같다면 각 component의 농도의 변화가 없는 일정한 값이 될 것이며 이 상태를 평형상태라고 한다.
② 역반응의 평형식은
Kc‘ =
N2O4에서 NO2로
제 13장 화학 평형
13.1 평형 상태
N2O4에서 NO2로의 분해반응은 NO2분자가 N2O4분자로 다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가역반응이라고 하고 평형상태에 있다고 한다.
Kc =
[C]…(省略)
순서
[위험물산업기사] 제13장화학평형
다.
N2O4(g) ⇄ NO(g)
화학평형은 가역반응에서만 일어날 수 있으며, 닫힌계에서만 생긴다. 위의 반응에서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같다면 각 component의 농도의 변화가 없는 일정한 값이 될 것이며 이 상태를 평형상태라고 한다. 즉 화학평형은 동적평형상태이다.
Kc =
[C]는 C분자의 몰농도, Kc는 평형상수, (아래 첨자 c는 농도를 의미)
평형상수는 온도에 의존하므로 평형상수를 쓸때에는 항상 온도를 명시해 주어야 한다. 즉 화학평형은 동적평형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