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망 을 이용한 전력기기 광역감시 시스템 개발 착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3:43
본문
Download : 20030604-.jpg
이 시스템을 설치하면 전력공급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原因)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발빠른 대처로 전력공급 중단에 따른 재해를 막을 수 있다 연구팀은 그동안 사람이 직접 전력기기의 고장을 측정(測定) 했던 번거로움을 없애 자동으로 drawback(걸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는 명령을 내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





한국전기연구원(원장 권영한) 전력설비진단연구그룹 김광화 박사팀은 전력기기의 고장과 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력기기 광역 감시진단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은 또 향후 전력산업의 민영화 및 구조개편에 따라 발전회사와 배전 부분으로 나뉘면 전력공급 시스템의 신뢰성과 전력기기 운전 및 상태에 관한 정보공유에도 이용할 수 있다고 說明(설명) 했다.
레포트 > 기타
설명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기기 광역감시 시스템 개발 착수
다.
인터넷을 이용해 전국 각지의 전력공급시스템을 감시하고 고장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순서
연구팀은 내년 말까지 1단계 사업을, 2006년 말까지 2단계 사업을 진행해 시스템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센서기술을 이용해 기기의 고장을 진단하고 문제를 해석·analysis하는 알고리듬으로 구성된다.
Download : 20030604-.jpg( 21 )
인터넷을 이용한 전력기기 광역감시 시스템 개발 착수
감시진단시스템은 전국 각지에 흩어진 전력기기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네트워크화하고 기기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다.
누리망 을 이용한 전력기기 광역감시 시스템 개발 착수
누리망 을 이용한 전력기기 광역감시 시스템 개발 착수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kr>
김광화 박사는 “전력기기의 고장이나 사고로 전력공급이 중단되면 산업체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지하철이나 상수도 등 사회시설이 마비돼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며 “전력기기 광역 감시진단시스템 개발이 완료되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전자와 전력 융합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