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6 12:03
본문
Download : 윤리학_2047271.hwp
그렇다면 행복이란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 수 있는 것일까?
그는 행복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인간 고유의 기능발휘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조건들이 충족돼야 한다고 봄으로써 다른 견해와는 차이를 보였다.


윤리학
인간적 삶의 이상과 보편적 윤리학적 이기주의에 관한 여러 의견을 살펴보니 그 중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 나의 생각과 가장 비슷하였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이성이 필요하며 신체적 조건, 경제적 조건 등 여러 사회 環境적인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계획과 규칙 위에서 그것을 이해하고 따르는 기능의 삶이라 생각했다. 또한, 행복은 덕에 따르는 것이며 짧은 시기에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를 통해 드러나는 것이라 보았다. 그들도 스스로 판단하고 생각할 수 있는 이성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즉, 행복은 내 안에서 저절로 느끼고 이루어지기 보다는 현실 생활에서 여러 가지 조건들과 부딪히며 느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성이 행복에 이르게 하는 유일한 조건일 수는 없다는 얘기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윤리학
다른 이론(理論)들은 극단적이거나 비현실적 또는 추상적이다. 그에 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은 이성적이고 현실적이었다. 그가 생각하는 선한 삶은 두 극단의 중용이라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의 기본은 중용이다. 예를 들어 노예는 선택에 따라 행위 하는데 필요한 자유를 누리지 못하므로 행복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중용의 기준에는 경계선의 모호함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기준에는 일반적 규정이 없다고 한다. 이것은 사람에 따라 다른 것으…(省略)
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 행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최고선이며, 이 최고선은 바로 행복이라고 보았다.윤리학 , 윤리학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Download : 윤리학_2047271.hwp( 81 )
인간적 삶의 이상과 보편적 윤리학적 이기주의에 관한 여러 의견을 살펴보니 그 중 ‘아리스토텔레스’의 理論(이론)이 나의 생각과 가장 비슷하였다. 절제는 필요하지만 철저한 금욕이나 끝없는 방탕이 돼서는 안 된다 이렇듯 그는 ‘만사에 있어서의 중용’을 말한다. 너무 지나치는 것도 안 되고 너무 모자라는 것도 안 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우리의 능력에 대해 자신감을 갖는 것은 것이 좋지만 너무 자만에 빠져서도 안 된다 용기도 비겁보다는 낫지만 만용과는 다르다. 그리고 행복은 단순한 잠재태(potentiality)가 아닌 현실태(實態)(activity)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