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의 문헌관과 문헌학적 학풍의 전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07:24
본문
Download : 퇴계의 문헌관과 문헌학적 학풍의 전개.hwp
그런데 그것은 문집 속의 <서>나 <잡서>에 분류되어 실려 있기에 단독 저술으로서 외형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서적의 외형을 갖춘 것으로 대개 ≪주자서절요≫≪리학통록≫≪계몽전의≫≪경서석의≫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서적의 편찬 방법을 분류해 보면 ① 절요적 저술 ② 집록적 저술 ③ 주석적 저술으로 나누어 진다.
,기타,레포트
2. 퇴계의 저술유형
문ȜȜ철저한 인식방법은 ‘참정’과 ‘고론’이었음은 앞에서 언급하다 Ǵ같ϧ문ϧ이!계A저喝e는 어떤 형태로나났병ʚ 살펴보기
퇴계학문의 제 내용은 잡저나 문인들의 왕복서찰에 들어 있음은 다 아는 사실이다. ‘절요’란 말의 뜻은 “절기번이취기요”이다. 그래서 ‘절요’란 이름을 붙였던 것이다. 즉 번잡한 것을 절산하고 그 요지로운 것만 취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주자서절요≫은 주자문집의 서한중 “우관어학문이절어수용자” 이황 ≪주자서절요≫서문.
즉 학문하는데 더욱 유관하고 수용함에 절실한 것을 뽑아 만든 것이다.-ȜȜ-
2) 집록적 저술
≪리학통록≫이 여기에 속한다.
1) 절요적 저술
이는 두말할 것도 없이 ≪주자서절요≫이다. 이러한 것은 편질이 많아 전체를 이해하기 힘들 때 취하는 편술의 한 방법인데 뒷날 많은 影響(영향)을 끼쳐 ≪퇴계선생서절요≫(10권, 이상정) 등과 같은 절요문헌이 많이 나왔다. 여기서 볼 때 아무 것이나 모아서 편록한 것이 아니라 ‘소가거신자’ 즉 믿을 만한 근거가 있는 문헌…(생략(省略))
설명
2. 퇴계의 저술유형
Download : 퇴계의 문헌관과 문헌학적 학풍의 전개.hwp( 58 )
문ȜȜ철저한 인식방법은 ‘참정’과 ‘고론’이었음은 앞에서 언급하다 Ǵ같ϧ...
퇴계의 문헌관과 문헌학적 학풍의 전개
순서
레포트/기타






2. 퇴계의 저술유형문ȜȜ철저한 인식방법은 ‘참정’과 ‘고론’이었음은 앞에서 언급하다 Ǵ같ϧ... , 퇴계의 문헌관과 문헌학적 학풍의 전개기타레포트 ,
다. 퇴계는 이 ≪이학통록≫의 서문에서 “주자가 창도함에 그 제자들이 자못 많았지만 그들의 학문과 사적들이 거의 산일되고 불전하는 것이 많기에 여러 문헌에서 믿을 만한 근거가 있는 것(소가거신자)을 쇠집해서 편록(부집이편록) ≪퇴계선생전서≫ 속집 권팔, <리학통록서>. 고정 창도 문제자심성 연기학문사적 다일이불전 금자쇠집이편록 소가거신자 자송사유본전외 유유주자실기 급어류대전일통지등서……
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