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e의 `인식론적 자연주의`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5 02:26
본문
Download : Hume의 `인식론적 자연주의`에 대해.hwp
Download : Hume의 `인식론적 자연주의`에 대해.hwp( 65 )
Hume의 `인식론적 자연주의`에 대해
`인식론적 자연주의`는 지식획득, 더 일반적으로 말해, 믿음획득을 규범적인(normative) 문제로 다루는 철학적 탐구와 기술적인(descri... , Hume의 `인식론적 자연주의`에 대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인식론적 자연주의`는 지식획득, 더 일반적으로 말해, 믿음획득을 규범적인(normative) 문제로 다루는 철학적 탐구와 기술적인(descriptive) 문제로 다루는 과학적 탐구의 관계에 대한 소위 `전통적인 견해`의 `대체논제(replacement thesis)`이다. 이와 같이 `전통적 견해`는 믿음획득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과학적인 탐구를 무관한 것으로 간주하는 입장을 견지한다. 반면에 질문 2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심리학적 탐구는 우리의 믿음이 획득되는 심리적 과정, 즉 믿음형성의 실제과정을 기술하는 것을 과업으로 한다.
`전통적 견해`에 대한 이러한 고찰은 다음의 두 가지를 함의한다. 둘째, 지식의 정당성 문제…(To be continued )






`인식론적 자연주의`는 지식획득, 더 일반적으로 말해, 믿음획득을 규범적인(normative) 문제로 다루는 철학적 탐구와 기술적인(descri...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따라서 이 `전통적인 견해`의 입장에 대한 고찰부터 처음 하고자 한다. 이는 2의 `기술적 질문`과 전혀 관계가 없다. 전자는 철학자의 영역으로, 후자는 심리학자의 영역으로 할당된다 그리고 이 두 가지 독립된 연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질문 3에 대한 답변이 나온다. 질문 1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철학적 탐구가 전통적인 `규범 인식론`이다. 규범 인식론은 `이상적 지식체계의 구축`이라는 목표(goal) 하에 참된 믿음이 정당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 즉 믿음에 대한 `규범 정당화의 작업`을 근본과업으로 한다. 첫째, 인식론은 심리학과, 더 일반적으로 말해, 철학은 과학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학문의 영역이다. 전통적인 견해에 따르면, 인식론에서 가장 중요한 과업이 바로 이러한 인식적 정당화의 작업이다. 이는 1의 `규범적 질문`과 전혀 관계가 없으며, `규범 정당화의 작업`에 어떤 influence(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검토해 보자.
1. 우리는 어떻게 믿음에 도달해야만 하는가?
2. 우리는 어떻게 믿음에 도달하는가?
3. 우리가 실제적으로 믿음에 도달하는 과정이 우리가 믿음에 도달해야만 하는 과정, 바로 그것인가?
`전통적인 견해`는 1의 `규범적 질문들`과 2의 `기술적 질문들`이 전적으로 독립되어 있다고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