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역사(歷史)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9:08
본문
Download : 전통역사학.hwp
003. 정인보(정인보), 한사군(한사군), 문일평(문일평)
정신의 강조는 정인보의 ‘얼’이 더욱…(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전통역사학.hwp( 83 )
다. 그가 우리의 history를 투쟁의 history로 보는 데에는 항일이라고 하는 강한 민족주의를 유념할 때 십분 납득이 가는 점이다. 그리고 이 사건이 그가 주장하는 랑가사상의 패배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채호의 혼보다는 한층 history적 성격이 선명하다. 신채호의 history는 이 점에서 투쟁의 history이다.
그는 묘청의 난이 비록 패배하였으나 자주성을 지녀왔던 정신이 사대주의로 바뀌게 된 사건이 바로 묘청의 난을 그 계기라고 보았다.
,인문사회,레포트
전통역사(歷史)학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전통역사학에 대한 글입니다[역사학개론]한국의역사관① , 전통역사학인문사회레포트 ,
[역사(歷史)학개론]한국의역사(歷史)관①
전통역사(歷史)학에 대한 글입니다





002. 신채호(신채호)
민족주의 사학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신채호의 경우는 박은식의 혼보다 한층 이해가 분명한 듯한 랑가사상을 들고 있다아 그의 사론 <조선상고사 총론>에서 그는 history를 아와 비아와의 투쟁으로 파악하고 있다아 여기서 아는 우리나라, 비아는 우리나라를 침략하는 제국주의를 의미하고 있다아
그러나 안으로 우리나라 history에 적용될 경우, 아와 비아는 국사 자체 내에도 존재한다.
따라서 신채호의 랑가사상도 역시 정신을 강조하고 주장하였다는 점에서는 관념론에 기울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