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와 화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1 03:34
본문
Download : 재생에너지와 화학.hwp
태양에너지의 경우 전국 16개 측정(measurement)지점에서 1982년에서 2005년까지, 풍력에너지는 전국 78개 측정(measurement)지점에서 1995년에서 2006년까지 측정(measurement)한 데이터를 시스템 구축에 각각 이용했다.[교양]재생에너지와화학 , 재생에너지와 화학자연과학레포트 ,
다.설명
,자연과학,레포트
기사내용
추가내용
기사 내용
<국내 신재생에너지 자원정보 `한눈에`>
연합뉴스|기사입력 2007-11-26 10:48
에너지硏, 자원지도 제작..가용 잠재량 39억TOE
(대전=연합뉴스) 정찬욱 기자 = 국내에서 태양에너지는 중서부 남해안 지방과 충남 태안반도 일대, 풍력 에너지는 강원도 산간지역과 제주도 일대에서의 발전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 박사팀은 지난 2년간 산업자원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의 지원을 받아 태양, 풍력, 소수력, 바이오매스, 지열 등 5개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표준데이터를 확보, 자원지도 시스템을 구축했다.
Download : 재생에너지와 화학.hwp( 54 )
재생에너지 확보에 대한 기사 내용을 작성하고 자신의 견해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이 자원지도 시스템은 전국 도처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신재생에…(투비컨티뉴드 )
[교양]재생에너지와화학
순서



레포트/자연과학
재생에너지와 화학
재생에너지 확보에 대한 기사 내용을 작성하고 자신의 견해에 대상으로하여 작성했습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본부 강용혁 박사팀은 이 같이 국내 신재생에너지 자원정보를 손쉽게 검색하고 잠재량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시스템`(http://kredc.kier.re.kr)을 개발, 26일 시연회를 가졌다.
또 국내 신재생에너지 총 가용 잠재량은 39억 TOE(석유환산t)로, 이 중 1%만 활용해도 국내 총에너지 소비의 20% 가량을 충당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그 결과 국내에서 태양에너지는 중서부 남해안 지방과 태안반도 일대에서의 발전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기 오염이 심각한 서울 등 대도시 지역과 공단 밀집지역은 낮은 대기 투과율때문에 효율이 좋지 않았다.
또 풍력 에너지는 강원도 산간지역과 제주도 일대에서 상당히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특히 내륙보다는 해안지역에서 많은 풍력발전 최적지가 도출됐다.
자원지도는 전국적인 자원 분포 상황을 디지털 지도 형태로 표기해 해당 지점의 자원 효율성 등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관련 데이터를 추출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