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열환경 조절요소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19:14
본문
Download :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열환경 조절요소에 관한 연구.hwp
본 연구에 앞선 예비test(실험) 결과 즉, 전통가옥에 대한 온도 變化(변화) 검토를 통해 살펴본 결과, 외…(省略)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열환경 조절요소에 관한 연구
다.
• 창호지는 투명성, 통기성, 열적성능이 우수하다.
맹장지(창살 앞뒤로 두껍게 바른 것)는 겨울철 보온의 역할
유리는 자외선이 통과되지 않지만 창호지는 양호
직사광선을 50% 정도만을 투과시켜 부드러운 확산광 실내 유도
실내 발생음을 흡수하여 울림현상을 줄여 양호한 음environment(환경) 형성
Ⅳ. 온열environment(환경) 측정(測定) 결과 및 분석
전통주택과 현대 공동주택의 environment(환경) 조절 수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전통주택의 마당과 안방 그리고 현대 공동주택의 화단과 안방에 environment(환경) 요소를 측정(測定) 할 수 있는 IAQ(Indoor Air Quality) 측정(測定) 기를 설치하여 내외부 온열environment(환경) 요소 變化(변화)를 살펴보았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열환경 조절요소에 관한 연구.hwp( 53 )
전통민가의 외부환경조건 변화에 따른 내부 환경 요소의 변화연구를 통하여 전통적 환경 조절 수법을 이해하고, 현대 공동주택의 환경 변화 정도와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한 자료입니다.순서
설명
전통민가의 외부환경조건 변화에 따른 내부 환경 요소의 변화연구를 통하여 전통적 환경 조절 수법을 이해하고, 현대 공동주택의 환경 변화 정도와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한 reference(자료)입니다.
• 겨울철에는 개구부를 덧문이나 널문으로 폐쇄하여 후면부의 퇴간과 함께 실내외 차가운 기류의 통과를 차단하고 있따
• 온돌이 겨울철 난방시설이라면 마루는 여름철을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한 시설이다.
• 지붕재료 : 태양복사열의 차단효율가 큰 볏집과 기와
• 체재료 : 열용량이 큰 흙
이러한 재료는 여름철에는 뜨거운 복사열을 차단하여 실온변동폭을 적게 하고 겨울철에는 열용량이 큰 볏집과 흙벽으로 시간지연효율에 의해 실온변동폭을 적게 했다. ,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열환경 조절요소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Ⅰ. 서 론
Ⅱ. theory(이론)검토
Ⅲ. 한국전통주택의 environment(환경) 特性
1. 배치계획
2. 평면계획
3. 일사(열) 및 일조(소독)계획
4. 통풍계획
5. 건축재료의 特性을 이용한 environment(환경) 조절
Ⅳ. 온열environment(환경) 측정(測定) 결과 및 분석
1. 측정(測定) 일정 및 대상가옥
2. 측정(測定) 방법
3. 측정(測定) 결과 및 분석
Ⅴ. 결 론
• 여름철 흡입구 역할을 하는 대청의 개구부는 들어열개로 되어 있어 인체의 수분증발에 의한 냉각효율를 증대시킨다. 기와지붕은 흡·방습성이 좋기 때문에 실내습도 변동의 완화시켜 쾌적한 습도조건 유지
• 창호재, 가구재, 바닥재로 쓰이는 나무는 열전도율이 낮아 열교현상에 의한 건물 열손실을 적게 하였다.
• 격자 창살은 현대건축의 Sun Screen과 같은 역할을 하여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겨울에는 창문 바깥쪽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손실을 적게 한다.
5. 건축재료의 特性을 이용한 environment(환경) 조절
• 주위에서 취득이 용이한 재료를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