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별자질(Distinctive Fea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07:29
본문
Download : 변별자질(Distinctive Feature).hwp
. 다만 다른 가치들에 근거해서 그 자질들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자음의 변별자질(Distinctive Features)
음성학적 자질들을 체계화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세 가지가 사용된다된다.변별자질(Distinctive Feature)
Download : 변별자질(Distinctive Feature).hwp( 68 )
분절음의 잉여성(Segment Redundancy)
앞서 나온 모형을 보고 알 수 있는 점은 모든 분절음은 각자 나름대로 서로 상반되는 자질을 지니고 있따 그러나 이러한 자질들이 모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3)[-back]인 분절음은 언제나 [-round]이다. (6)[-back]인 분절음은 언제나 [-low]이기 때문에 원순 저모음은 없다. (5) 저모음은 /ɑ/하나 밖에 없기 때문에 [+low]인 분절음은 [+back]이면서 [-round]가 된다된다. 그러나, 이 모형에서 괄호로 표시된 자질들이 잉여성을 지닌 것이라 해서 그들이 지닌 가치에 별 관심을 두지 않아도 된다거나, 그 가치가 별로 주용하지 않다는 뜻은 아닐것이다. . 이러한 자질들 중에 어떤 것들은 다른 자질이 나타나는 것을 근거로 해서 예측되기도 한다. 첫째, 개별 분절음마다…(생략(省略))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설명
앞서 나온 모형을 보고 알 수 있는 점은 모든 분절음은 각자 나름대로 서로 상반되는 자...
,기타,레포트
분절음의 잉여성(Segment Redundancy) 앞서 나온 모형을 보고 알 수 있는 점은 모든 분절음은 각자 나름대로 서로 상반되는 자... , 변별자질(Distinctive Feature)기타레포트 ,
순서
레포트/기타
분절음의 잉여성(Segment Redundancy)
다. (2)[+low]인 분절음은 언제나 [-high]이다. (4)[+round]인 분절음은 언제나 [+back]이다. 이것을 분절음의 잉여성(segment redundancy)이라 부르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모형은 어느 정도의 잉여성을 포함하고 있따 아래의 기본적인 다섯 가지 모음 체계에서 반복성이나 잉여성을 지닌 자질에 대하여는 그 부호에 괄호를 쳤는데,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i/
/e/
/ɑ/
/o/
/u/
고음성 high
+
-
-
-
+
저음성 low
(-)
(-)
+
(-)
(-)
후설성 back
-
-
(+)
(+)
(+)
원순성 round
(-)
(-)
(-)
+
+
이 모형에는 다음과 같이 의존성이 포함되어 있따 (1) [+high]인 분절음은 언제나 [-low]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