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성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21:45
본문
Download : .hwp
그러나 직경 3mm를 정확히 유지하기 어렵고 손바닥에 힘이 가해져서 시험장비가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따 소성한계는 소성도를 이용한 세립토의 분류와 흙의 工學(공학) 적 성질 판정을 위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6. 결과의 이용
Download : .hwp( 49 )
2. 시험장비
5. 시험의 결과
설명
3. 시험방법
1. 시험의 목적
4. 결과의 계산방법
레포트 > 기타
소성한계
소성한계 소성상태 반고체상태
7. 고찰
다.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하면 곧 소성한계가 된다.
소성한계 소성상태 반고체상태 / ()
순서





소성한계 소성상태 반고체상태 / ()
소성한계 는 흙의 소성상태와 반고체 상태의 경계를 나타내는 함수비를 말하고 KS F 2304에서는 『흙덩어리를 손으로 밀어 직경 3mm의 국수모양으로 만들어 부슬부슬 해질때의 함수비』라고 definition 되어 있따 시험에서는 직경 3mm가 되게 국수모양으로 만든다음에 손바닥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살살 문지르면 체온에 의하여 물이 마르면서 함수비가 감소되고, 일정함수비(소성한계)에 도달되면 부스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