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생활양식과 주거공간의 관련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09:20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생활양식과 주거공간의 관련성.hwp
Ⅲ. 우리 나라의 생활양식과 주거공간의 관련성
1. 풍수
옛 우리 선조들이 집을 지을 때 맨먼저 간용(看龍)을 한다.
우리나라 생활양식과 주거공간의 관련성
우리 나라의 주거environment에는 어떠한 생활양식이 들어있는지 여러 참고 문헌을 토대로 우리 나라의 주생활공간인 주거공간과 주거environment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그 속에 내포된 생활양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산(山)과 수(水)와 향(向)의 삼위일체가 들어맞는 그런 곳에 집터를 정하는 것이 상식이 돼 있으며 이 삼위일체가 된 터에서 살면 부귀영화하고 이 삼위가 이지러진 터에 집을 짓고 살면 흉액패가망신(凶厄敗家亡身)하는 것으로 알았던 것이다.
설명
생활report-주생활공간의관련성
순서
우리 나라의 주거환경에는 어떠한 생활양식이 들어있는지 여러 참고 문헌을 토대로 우리 나라의 주생활공간인 주거공간과 주거환경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그 속에 내포된 생활양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간용이란 용(龍)을 본다는 뜻으로 곧 풍수법술(風水法術)의 기본행위인 것이다.
죽어 사는 음택(陰宅=무덤)만큼 살아서 사는 양기(陽基=집) 풍수는 심하지 않았지만, 집을 짓거나 집을 살 때 최소한도 이 간용만은 필수였고, 터가 넓고 좁고 또는 집이 좋고 나쁘고에 따라 값이 달라지듯이 이 간용…(생략(省略))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다.생활report-주생활공간의관련성 , 우리나라 생활양식과 주거공간의 관련성기타레포트 ,
Download : 우리나라 생활양식과 주거공간의 관련성.hwp( 81 )






Ⅰ. 서론
Ⅱ. 우리 나라의 주거의식
Ⅲ. 우리 나라의 생활양식과 주거공간의 관련성
1. 풍수
2. 택지
3. 초당과 토벽
4. 지붕
5. 온돌
6. 마루
7. 담
8. 창(窓)
9. 굴뚝(연돌)
Ⅳ. conclusion(결론)
이같은 전통적 주거의식에 변수로 작용한 것이 근대화 과정에서 형성된 도시화에 따른 빈번한 이동성이요, 상호 견제로 상향욕구를 자제시켰던 공동체의 붕괴로 마냥 치솟는 사치성이며, 또 집을 생(生) 영위의 처저 필수조건에서 투자대상으로 변용시킨 재산성(財産性)이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