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24주년(4)]한국 표준을 세계 표준으로-`표준 리더` 양성 국가가 나선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21:00
본문
Download : 20060921-.jpg
특히 국가 표준 개발시 외부 용역 사업을 지양하기로 했다.
[창간24주년(4)]한국 표준을 세계 표준으로-`표준 리더` 양성 국가가 나선다
政府는 IT·環境(환경) 등 25여개 분야에서 150여개 기관·단체를 PSDO로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궁극적으로 PSDO가 국가 표준 대표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갖추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제시한다.
[창간24주년(4)]한국 표준을 세계 표준으로-`표준 리더` 양성 국가가 나선다
급속한 IT 발전으로 발생하는 신기술·신수요 분야의 세계 표준을 우리가 한발 앞서 선점하기 위해선 기술 전문성을 갖춘 민간 인력들이 대거 포진해야하지만 실제 우리 민간 표준 역량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Download : 20060921-.jpg( 44 )
실제 2005년 말 현재 민간 표준화 역량 지표인 ‘단체 표준’을 살펴보면 日本(일본)은 4만5000여 종에 달하는 데 반해 우리나라 61개 민간 단체는 1273종의 단체 표준을 보유하고 있어 양적으로 日本(일본) 단체 표준의 2.8%에 머물고 있따
허경 기술표준원 신산업기술표준부장은 “표준 주요 고객인 기업이 직접 참여하는 PSDO를 운영, 수요 중심의 정책을 펼쳐나간다”며 “특히 신기술 표준 선점을 위해 PSDO내 CEO협의체를 구성·운영해 우리 표준을 글로벌 표준으로 반영한다”고 말했다.
[창간24주년(4)]한국 표준을 세계 표준으로-`표준 리더` 양성 국가가 나선다
[창간24주년(4)]한국 표준을 세계 표준으로-`표준 리더` 양성 국가가 나선다
안수민기자@전자신문, smahn@
다. 하지만 민간 표준 단체간 경쟁을 유도하고 지정 기관의 진입 장벽을 제거할 목적으로 굳이 지정 기관 수를 제한하지 않기로 했다.
게다가 현재 기술 기준을 제·개정하는 19개 부처 산하 기관은 국가 표준 시스템과 별개로 운영된 탓에 국내·외 표준 정보에 대한 지원 활동성이 떨어질 뿐더러 민간 표준 전문인력 양성에도 한계점에 도달하기 시작했다.
순서
박인수 기술표준원 정보디지털표준팀장은 “국가 표준을 독자 추진하거나 외부 연구 용역 형태로 개발할 경우 글로벌 기술 표준 동향과 신기술 잠재 표준 동향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PSDO’란 협회·학회 등 표준 개발 능력을 갖춘 기관을 국가 표준 초안 개발기관으로 활용하는 선진국형 제도다.
政府는 11월께 표준 분야 관련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국가표준개발협력기관(PSDO) 지정’ 제도를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政府가 민간 분야의 국가 표준 리더 양성에 발벗고 나섰다.
레포트 > 기타





특히 미국과 日本(일본)은 이미 PSDO를 도입,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자국 표준을 글로벌 표준화 대열에 편입한 점을 지켜볼때 우리 政府가 뒤늦게 나마 제도 변혁을 실행했다는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평가다. 국가표준 제·개정 방식을 政府 주도에서 하반기께 민간 주도로 전격 전환하기로 한 것이다. 그는 또 “국가 표준의 외부 연구 용역도 특성상 민간이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단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政府는 이처럼 국제 표준화 활동에 민간 전문가 참여를 확대, 표준 전문가 양성 토양을 다지고 특히 우리 기업의 기술을 국제 표준에 반영, 국제 기술 표준 동향의 대응 능력이 한 차원 제고될 것으로 내심 기대하고 있따
설명
이에 따라 政府는 우리나라 국가 표준을 글로벌 표준으로 만들기 위해 기존 국가 표준 개발 체계에 대수술을 감행하기로 했다. 그 대신에 산업기술기반자금 등 표준화 관련 예산을 PSDO에 우선 배정, 민간 차원에서 표준 개발을 촉진한다.